전북 판화의 현실과 그 대안 모색 전북 판화의 현실과 그 대안 모색 김 철 수 정보 소통을 위한 인쇄물의 기능을 담당했던 판화가 예술의 표현 장르로 규정 된 것은 1960년대 초반으로 알려져 있다. 국제 조형 예술협회(IAA)총회에서 판화의 개념을 회화나 조소와 차별화하여 규정하였고 이후 오리지널 판화가 ‘원판에 의한 복제성’과 .. ㅁㅁ -- 기타 글 모음 2006.07.11
동판화 제작 과정 《동 판 화》 1. 준비물 ① 동판 0.8mm 적당, 전지크기(60cm×90cm) ② 도구: 니틀(송곳), 스크래퍼(긁어내는 것), 버니셔(문지르는 것) ③ 질산(염화제이철), 알콜, 석유(휘발유), 송진, 그라운드,망사, 판화지, 시트지, 깃털(꿩,닭털)-기포제거, 고무장갑, 화장지, 신문지, 앞치마(작업복) 2. 에스키스(밑그림) 1) .. ㅁㅁ -- 기타 글 모음 2006.07.11
석판화(리도 그래피) 의 원리 및 제작과정 석판화(LITHOGRAPHY) 원리 및 제작 과정 석판화(리토그래피)의 기원은 잘 알려져 있다. 리토그래피의 발명자인 제네펠더(1771-1834)는 자신의 문학작품을 보다 값싼 방법으로 인쇄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데서 비롯되었다. 석판화는 평판화로 물과 기름의 반발작용을 이용한다. 석판(Limestone) 혹은 알루미늄판,.. ㅁㅁ -- 기타 글 모음 2006.07.1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