《동 판 화》
1. 준비물
① 동판 0.8mm 적당, 전지크기(60cm×90cm)
② 도구: 니틀(송곳), 스크래퍼(긁어내는 것), 버니셔(문지르는 것)
③ 질산(염화제이철), 알콜, 석유(휘발유), 송진, 그라운드,망사, 판화지,
시트지, 깃털(꿩,닭털)-기포제거, 고무장갑, 화장지, 신문지,
앞치마(작업복)
2. 에스키스(밑그림)
1) 에스키스의 이미지를 사실적, 반구상적, 추상적으로 연필로 묘사한다. 판에 직접 스케치할 수도 있으며, 이미지를 트레싱지(투명종이)에 옮겨 그리고 난 후 트레싱지를 표면 위에 뒤집어서 올려 놓고 전사한다.
2) 또, 밑그림을 그릴 때
-바니쉬(그라운드)가 입혀진 동판위에 이미지를 새겨 넣을 때 반드시 동판 음각용 도구들(바니셔, 나이프, 송곳(니틀),면도날, 스크래퍼)등 만을 이용하는 것도 아니다. 작업자가 특수한 효과를 내기 위해서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다.
-특수한 효과를 표현하고자 하는 것들을 시험해 보는 것이 좋다.
예)① 동판에 테이프를 붙여서 이미지화 시킬 수 있다.
②그라운드를 일부 칠하고 부식액을 붓으로 칠하여 반복시킬 수 있다.
③스프레이를 뿌려 부식시킬 수 있다.
④두께가 너무 굵은 선이나 넓은 면의 경우는 부식을 하여도 어두운 색으로 찍혀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. 이러한 부분은 부분적으로 아퀴틴트 기법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좋다.
⑤소프트 그라운드 전사 - 동판에 바른 다음 소재를 올려 놓고 프레스기로 누른다.
3. 동판화 제작 과정
① 동판 뒷면에 시트지를 바른다.
②모서리 부분을 45도 각도로 깎는다.
③동판에 그라운드를 입힌다(가열시킨다)
④부분적으로 부식시킨다(선의 이미지)
⑤아퀴틴트-그라운드 부분적으로 칠한다→송진가루(1분,3분,5분 입자시) 분말상자시용(그레인상태가 다르다) →가열한다→1차부식→송진제거(알콜)
또다시
2차부식- (송진+가열) →질산→송진제거(알콜)→세척(질산 시에는 간장으로 씻어 질산을 말끔하게 제거시킴)→건조
3차부식- 4차부식- 완성시킴.
※이때 1차 부식 후 각종 도구를 이용하여 묘사한다. 그리고 나서 또 다시 아퀴틴트 시킨다.
4. 판의 부식
부식에는 ①질산- 아연판, 철판에 사용
②염화제이철→동판사용
*질산→질산은 강하고 위험한 산으로 그 증기가 유독하고 강렬하여 부식속도가 빠르다. 아마도 아퀴틴트에서 가장 어려운 과정일 것임.
*열화제이철→질산과는 달라서 서서히, 더 깊이, 그리고 더 정확하게 부식이 이루어진다.
〈46B 염화제이철 용액은〉
- 5분 부식하면→가벼운 그레인이
-10분 후에는→보다 강한 그레인이
-15분 후에는 →판을 찍었을 때 검은 그레인이 찍혀 나온다.
- 20분 이상 부식하는 것은 위험하다.
-부식액(질산 40%+물60% 또는 약하게 할 경우 질산 30%+물70%)
《아퀴틴트 기법≫
부식제를 사용하여 금속판을 부식시켜 명암의 대비를 강하게 해 준다.
1. 아퀴틴트 제작
①판 준비 과정
②그레인 과정(명암의 깊이 과정)
③부식 과정
④찍는 과정 - 여러 단계를 거쳐 찍는다.
2. 판의 그레인은
①그레인으로 보호되지 않는 부분은 -부식액에 의해 깊게 파여 찍힌다.
② 그레인 처리된 표면의 거칠기, 간격, 깊이는 원하는 결과에 따라 달라진다. 세심한 관찰과 기록이 요망된다.
③ 그 층이 겹쳐지도록 함으로써 여러 가지 명암의 층이 생겨 찍히게 된다.
3. 판의 찍기(아퀴틴트 찍기)
① 5분 후 송진가루를 가열시킨다.
② 부식후에는 반드시 판을 세척한다.
아퀴틴트→송진제거는 (알콜로 제거시킨다)
- 그라운드는(석유로 닦아내고, 휘발유로 닦는다, 또는 테레핀유로 제거한다)
③ 종이는 판회지 두께 250g 정도의 무게가 적당하다.
4. 아퀴틴트의 〈송진가루로 그레인할 때의 원리〉
- 1분가량 → 기다리면 아주 굵은 그레인
- 3분가량 →기다리면 중간 굵기의 그레인
- 5분가량→기다리면 고운 그레인을 얻을 수 있다.
o 고운 입자가 적은 양 입혀지면 - 규칙적인 그레인을 얻을 수 있다.
o 고운 입자가 충분히 입혀지면 - 선명치 못한 그레인이 된다.
〔송진 가루를 입힌 판을 꺼낼 때 주의〕
① 판의 밑바닥을 잡고 꺼낸다.
② 손자국이 있어선 안된다.
③ 적당한 온도가 될 때까지 서서히 가열한다.
판이 고루 가열되도록 열을 분산시켜준다.
④ 판을 가열 시킬 때는 너무 지나치지도 너무 모자라지도 않도록 정확하게 해야 한다.
⑤ 또한 판의 가열이 충분하지 않으면 수지 입자가 판에 융착되지 않고 부식과정에 떨어져 나가게 된다.
⑥ 가열이 잘 되었는가 하는 것은 색의 변화를 보는 것이다. 약간 반짝이고 비단처럼 판이 들여다 보이면 가열을 멈추어야 한다.
'ㅁㅁ -- 기타 글 모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시회에 부쳐 (0) | 2009.04.09 |
---|---|
[스크랩] 9급 공무원 필기시험장 중학교의 학생입니다. (0) | 2007.04.19 |
초대의 글 (노령회전) (0) | 2006.11.03 |
전북 판화의 현실과 그 대안 모색 (0) | 2006.07.11 |
석판화(리도 그래피) 의 원리 및 제작과정 (0) | 2006.07.11 |